조석 현상은 주로 달과 지구의 인력에 의해
벌어지지만, 물때는 지구와 달, 그리고 태양의
인력까지 합세해 벌어지는 현상이다.
'태양-지구-달' 또는 '태양-달-지구'의 순서로
3개의 천체가 일직선으로 놓이는 날에 인력이
최고치가 되므로 들고나는 바닷물의 양이 가장
많은 날(사리)이 된다. 이와 반대로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과 달이 직각을 이루는 날이 지구에 미치는
인력이 분산되므로 바닷물의 들고나는 양이
가장 적은 날(조금)이 된다.
태양과 지구와 달의 순서가 어떻게 되든
일직선이 되는 날은 보름(15일)이거나
그믐(30일)이고, 역시 그 방향이 어떻든 직각을
이루고 있다면 상현(8일)이거나 하현(23일)이다.
3)Tip 사리 다음날에 조류가 더 강하다던데?
음력 보름과 그믐날의 사리 때가 가장 조류가
빠른 날이라고 흔히 말하지만 낚시터 현장에
나가 보면 사리를 하루 이틀 지난 날
(음력 16~17일 또는 1~2일)에 조류가 더 빠르게
흐르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왜 그럴까?
음력 15일(보름)과 30일(그믐)에 태양과 지구와
달이 일직선을 이루므로 지구에 미치는 인력이
최고치를 보인다. 이론적으로는 이날의 만수위가
가장 높고 조류도 가장 빨라야 한다. 그러나
액체인 바닷물이 강해진 인력에 즉각적으로 반응을
못한다는 사실이 문제다. 바닷물이 딸려오는데
시간적인 격차가 하루나 이틀 정도 걸리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조금보다는 무시나 1물의 유속이
더 느릴 수도 있다.
(4) 물고기가 잘 낚이는 물때
일반적으로 간만의 차가 크고 조류가 잘
흐르는 사리 전후에는 갯바위낚시가 잘 되고,
간만의 차가 적고 조류가 느린 조금 전후는
배낚시가 잘 된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상황에
따라 대상어종에 따라 정확한 대답이 될 수
없다. 조류가 잘 흐르면 물고기의 활성은
좋아지지만, 장소에 따라서는 조류의 흐름이
너무 빨라 채비 조작이 힘든 등 부작용도
생긴다. 더욱이 바닥이 개흙으로 이루어진
서해의 경우에는 흙탕물이 발생해 낚시가
곤란해지는 경우도 많다.
실례를 들면, 배낚시로 우럭이나 넙치를
노리는 경우는 조류가 느린 조금을 전후한
시기가 잘 된다. 그러나 같은 상황에서
부시리와 같은 회유어는 조류가 느린 조금에는
잘 낚이지 않는다. 연안 갯바위 주변은 같은
사리라고 해도 조류가 한바다만큼 빠르지 않다.
수중 암초나 갯바위가 흐름을 방해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갯바위낚시가 사리에
잘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만일 먼 바다의 외딴 간출여라면 한바다와 거의
같은 속도의 조류로 인해 낚시하기가 힘들 것이다
. 이런 장소는 오히려 조금을 전후한 시기에
낚시가 잘 된다. 어떤 어떤 물때가 최고라는
답은 있을 수 없다. 항상 시기와 지역에 대한
차이를 인정해야 한다.
(5) 물때에 따른 시간도 중요!
바다낚시에서 물때만큼 중요한 조건이 있다.
좋은 시간대를 찾는 것이다. 물고기가 활발하게
먹이를 먹는 때는 조류가 흐르는 동안이고, 또
아침과 저녁이다. 조류가 멈추는 만조 시간과
간조 시간에는 물고기들이 입을 닫고, 대낮에도
입질이 뜸하다. 더구나 연안 낚시터는 수심이
깊은 장소가 아니라면 썰물 때는 수심이
얕아져 낚시가 안 되는 곳이 많다.
그러므로 만조 시간을 전후하되 잠시 조류가
멈추는 만조 시간을 피한 시간, 즉 만조
전후의 2시간씩이 최고로 입질이 기대되는
시간이다. 이때 낚시에 집중해야 한다.
참고로 사리를 지나 2~3일간은 만조 시간
전후를 기대해 볼만하다. 물고기가 활발하게
먹이를 찾는 아침이나 저녁 햇빛이 어스름한
시간대와 맞아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니
이때를 놓쳐서는 안 된다.
Tip 사는 물때와 죽는 물때란?
일반적으로 조금에서 사리로 향하는 시기,
즉 조류가 점차 빨라지는 시기를 편의상 '사는
물때'라고 부른다. 구체적으로는 3물, 4물,
5물이 여기에 해당한다. 반대로 사리를 지나
조금을 향해가는 시기는 조류가 점차
느려지므로 '죽는 물때'라고 부른다. 10물,
11물, 12물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의 물때에는 조류가 극단적으로
빠르지도 않고 느리지도 않으므로 낚시하기에는
적당한 조건이 된다. 물론, 항상 낚시가 잘
된다는 뜻은 아니다. 낚시터의 여건(지형지물,
해저의 상태 등)과 대상어종에 따라 다양한
변수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지역적 특성도 존재한다.
(6) 일조부등(日潮不等)을 염두에 두자!
간조 때에 드러나는 간출암(干出岩)에 올라 낚시를
하는, 이른바 '여치기'를 할 때는 정확한 간만조
시각은 물론 일조부등 현상도 꼭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일조부등'이란 하루 동안 두 번 반복되는 만조와
간조의 수위가 동일하지 않다는 뜻이다. 쉽게
말하자면 오전 첫 번째 만조 시간에 잠기지 않았던
갯바위가 오후 두 번째 만조 시간에는 물에 잠기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이를 말한다. 이런 현상은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어서 달의 공전
궤도와 일치하지 않는 데서 비롯한다.
이론적으로 일조부등은 달이 북회귀선이나
남회귀선을 지나는 시기인 여름과 겨울의 사리,
봄과 가을의 조금에 가장 심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조금 때는 그 차이를 느끼기가 어려우므로
실제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시기는 여름과
겨울의 사리 때이다.
일조부등은 낚시터 안전사고와도 관련이
깊다. 안전한 방파제라면 모르겠으나 갯바위낚시의
경우, 높아진 수위에 퇴로가 차단되기도 하고,
낚시하던 자리에 물이 차오를 수도 있다. 같은
밀물과 썰물이라도 하절기에는 밤에 수위가
보다 높고, 동절기에는 낮에 수위가 더 높다는
점을 기억해 두어야 한다.
댓글 3